본문 바로가기

우크라이나 러시아 종전 수혜주 찾아보기

키아로 2025. 3. 6.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로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종전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관련된 기업들과 과거 러시아에 진출했었던 기업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우크라이나 주거 및 인프라 재건

전쟁으로 황폐화된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지역을 재건하기 위한 건설업과 건설기계 산업이 수혜를 받을 거로 예상됩니다.

현대건설

현대건설은 우크라이나 보리스필 국제공항공사와 공항 재건 및 확장 사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그리고 홀텍 SMR(소형모듈원자로), 웨스팅 하우스 대형 원전 9기 설치 프로젝트 원자력 전력 공사와 의향서(LOI)를 체결했습니다.

GS건설

GS건설은 우크라이나 인접 국가인 폴란드에 모듈러 주택 전문기업인 단우드를 자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지리적 이점으로 단우드를 통한 우크라이나 주거 재건에 영향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삼성물산

삼성물산은 우크라이나 리비우시, 튀르기예 건설사 오누르와 스마트시티 개발 협력 MOU를 체결했습니다. 튀르키예는 전쟁 발발 직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이 참여하는 평화협정을 중재했었습니다. 그리고 흑해 곡물 협정 연장 합의를 이끌어 내는 등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은 폴란드 석유화학 플랜트 '폴리머리폴리체' 건설을 진행 중입니다. 그리고 2041년 11월 폴란드 모듈러 시스템과 모듈러를 활용한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MOU 및 우크라이나 우크르나프타와 에너지 재건 사업 협력 MOU를 체결했습니다.

대우건설

대우건설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위해 폴란드 건설협화와 손잡고 폴란드 3위 건설사 이알버드와 업무 협약을 맺었습니다.

HD현대

HD현대그룹 건설기계 중간 지주사인 HD현대사이트솔루션은 우크라이나 복구 지원을 위해 우크라이나 측과 소통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HD현대건설기계 30t급 크롤러 굴차기와 HD현대인프라코어 21t급 휠 굴착기, HD현대사이트솔루션 LPG지게차가 투입되기도 했습니다.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가 우크라이나 시장 점유율 1, 2위를 차지하고 있고 두 회사를 합산한 시장점유율은 30%로 매우 높은 편이라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종전 후 재건 사업에서 수혜가 예상됩니다.

현대백화점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인 현대에버다임은 우크라이나 특수정비 제조 업체 테흐콤플렉트와 손잡고 생산한 드릴 크레인 트럭 5대를 우크라이나 에너지 기업에 공급한 이력을 갖고 있습니다.

대동기어

대동기어는 농기계, 선박기, 원동기, 자동차 부품 등을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우크라이나 농업 재건에 농기계와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대동기어는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농기계를 수입, 판매하는 총판사와 3년간 300억 원 규모의 트랙터를 공급하는 총판 계약을 맺었습니다.

우크라이나 러시아 종전 협상이 실제 종전 협상으로 이어지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투자 시 해당 사항을 꼭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종전과 재건은 서로 다른 문제입니다. 특히 재건에 드는 막대한 비용을 우크라이나에서 직접 조달하기는 어렵다는 게 현재 상황입니다. 그래서 우크라이나 재건 비용은 해외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우크라이나를 전폭적으로 지원한 미국과 나토 회원국이 우크라이나 재건에 주도권을 가질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폴란드, 튀르키예 등 인접 국가가 원가 경쟁력을 앞세워 건설 시장을 선점하고 있기 때문에 국대 기업들이 들어갈 틈이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2. 석유화학 에너지

석유화학, 에너지 산업의 경우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종식으로 글로벌 공급망과 물류 정상화로 손익 정제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동유럽 신시장 개척도 가능합니다.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업스트림 제품을 직접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런 구조에서는 저유가 상황이 손익에 유리합니다. 업스트림은 석유화학 기초 원재료인 나프타 쪽에 가까운 제품인데 업스트림 제품은 원유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유가가 상승하면 나프타 가격이 올라 원가도 함께 상승하게 됩니다. 그리고 전쟁으로 러시아산 나프타 사용이 막히면서 비싼 중동산 나프타를 사용했습니다.

3. 현대차 그룹

전쟁 전인 2021년 한국이 러시아로 승용차 수출 비중은 26%로 높았습니다. 그리고 러시아 자동차 판매량은 기아 2위, 현대차 3위로 판매량 또한 높았습니다. 현대차는 러시아에 제네시스 블랜드를 포함해 최소 17건의 상표 등록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현대 현대차 그룹의 공백을 중국 자동차 브랜드가 채웠습니다. 2024년 러시아에서 판매된 신차 중에서 가장 많이 팔린 브랜드 톱 10 중에서 8개가 중국 브랜드였습니다. 그래서 현대차가 예전의 지위를 회복하기는 쉽지 않을 거로 예상됩니다.

4. LG전자 / 삼성전자

전쟁 전 러시아 가전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높은 점유율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전쟁 이후 러시아의 제재로 중국, 튀르키예 등 우방국 기업의 전자제품 수입이 대폭 증가하면서 삼성, LG등 한국 기업의 점유율은 급격하게 감소하였습니다.

현재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는 이미 급격한 상승을 했습니다. 과도한 기대감이 선반영 되었을 가능성이 크기에 조심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