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자동차세 연납 공제율 카드사 할인 및 무이자 할부 이벤트
자동차세 연납제도를 신청한 사람이라면 매년 1월에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한다. 자동차세는 6월, 12월에 절반씩 나누어 부과하는데 1월에 한꺼번에 납부할 경우 세액 일부를 공제받을 수 있다. 1994년 자동차세 연납 제도를 처음 도입할 당시 한국은행 기준금리인 12.66%를 고려해 10% 공제율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공제율을 3%까지 단계적으로 축소할 계획이었다.
연도 |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공제율 | 10% | 7% | 5% | 3% |
최근 금리 인상으로 가계부담이 커지고 경기침체가 이어지고 있어서 국민 세부담등을 고려하여 2025년부터 자동차세 연납 공제율을 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2025년 자동차세 연납 할인율
1월 연납: 4.58% 할인
3월 연납: 3.76% 할인
6월 연납: 2.51% 할인
9월 연납: 1.25% 할인
6월, 9월에 연납하는 건 의미가 없을 것 같다. 이왕 연납하려면 1월에 하는 걸 추천한다.
자동차세 카드 납부 수수료 무료
자동차세는 지방세이기 때문에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납부해도 납부대행 수수료가 붙지 않는다. 종합소득세, 종합부동산세, 부가가치세 등 국세의 경우 신용카드는 0.8%, 체크카드는 0.5% 납부대행 수수료를 내야 한다. 그래서 자동차세 납부 시 할인되는 카드나 무이자 할부가 가능한 카드로 결제하는 게 더 유리하다.
KB 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
국세/지방세 환급할인 혜택이 있는 KB 직장인 보너스 카드로 납부하는 걸 추천한다. KB직장인 체크카드는 국세/지방세를 건당 10만 원 이상 결제 시 7,000원 환급을 받을 수 있다.
전월 이용실적 30만 원 이상 조건이 있지만 최초로 카드를 발급받으면 60일까지는 이용실적 없이 최대 5천 원 환급을 받을 수 있다.
자동차세 무이자 할부 카드
자동차세 연납을 신청한 후 무이자 할부로 납부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다.
현대카드 - 6/10/12개월 부문무이자 할부 [자세 보기]
우리카드 - 10/12개월 부문무이자 할부 [자세히 보기]
하나카드 - 10/12개월 부문무이자 할부 [자세히 보기]
삼성카드 - 2,3개월 무이자 할부 또는 6/10/12개월 부문무이자 할부 [자세히 보기]
신한카드 - 2,3개월 무이자 할부 또는 6/10/12개월 부문무이자 할부 [자세히 보기]
비씨카드 - 3개월 무이자 할부 또는 10/12개월 부문무이자 할부 [자세히 보기]
농협카드 - 6개월 무이자 할부 또는 10개월 부문무이자 할부 [자세히 보기]
필자는 삼성카드를 이용해 3개월 무이자 할부로 결제할 계획이다. 세금은 항상 절세가 중요하다. 어려운 경제 상황이라 자동차세 연납을 통해 조금이나마 가계에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놓치면 안되는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조건 및 신청 방법 (4) | 2025.05.05 |
---|---|
넷플릭스 30% 할인 혜택 삼성카드 모니모카드 (3) | 2025.03.14 |
메리츠증권 주식 체결 알림 카카오톡 알림으로 변경하기 (2) | 2025.03.13 |
디즈니플러스 연간 구독 삼성카드로 15% 할인 혜택 받고 결제 하기 (1) | 2025.01.23 |
메리츠증권 슈퍼365 모든 수수료 무료 계좌 한도제한 계좌 해지 방법 (1) | 2025.01.09 |
댓글